The Rolling Stones (음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The Rolling Stones》는 1964년 1월과 2월에 녹음되어 같은 해에 발매된 롤링 스톤스의 데뷔 음반이다. 영국에서는 데카 레코드에서, 미국에서는 런던 레코드에서 발매되었으며,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의 자작곡과 척 베리, 보 디들리 등의 R&B 커버 곡을 포함한다. 앨범은 영국에서 12주 동안 1위를 차지하며 상업적으로 성공했고, 미국에서는 《England's Newest Hit Makers》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어 빌보드 앨범 차트 11위에 올랐다. 앨범은 이후 여러 차례 재발매되었으며, 데이비드 보위 등 여러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4년 데뷔 음반 - Kinks (음반)
킹크스의 데뷔 음반인 Kinks는 1964년 발매되어 브리티시 인베이전 흐름 속에서 개러지 록 사운드, R&B 영향, 프로토 펑크적 요소가 특징이며, "You Really Got Me"를 포함한 자작곡과 로큰롤 커버 곡들이 수록되어 영국 앨범 차트 4위를 기록했다. - 1964년 데뷔 음반 - Five Live Yardbirds
《Five Live Yardbirds》는 1963년 마키 클럽에서 녹음된 야드버즈의 데뷔 라이브 앨범으로, 척 베리, 엘모어 제임스 등의 블루스 및 R&B 곡 커버, 에릭 클랩튼의 기타, 키스 렐프의 하모니카 연주와 긴 기악 즉흥 연주가 특징이며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 롤링 스톤스의 음반 - 12 X 5
12 X 5는 1964년 시카고에서 녹음된 롤링 스톤스의 두 번째 미국 스튜디오 앨범으로, R&B 커버 곡, 자작곡, EP 수록곡 등을 포함하며, 발매 당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빌보드 차트 3위에 올랐다. - 롤링 스톤스의 음반 - Steel Wheels
《Steel Wheels》는 1989년 롤링 스톤스가 발표한 앨범으로,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의 갈등을 극복하고 제작되었으며,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대규모 월드 투어로 이어졌다. - 데카 레코드 음반 - Sentimento
안드레아 보첼리가 2002년에 발표한 앨범 Sentimento는 호아킨 로드리고를 포함한 여러 유명 작곡가들의 곡을 담아 발매 후 각국에서 높은 차트 순위와 플래티넘 및 골드 인증을 받으며 전 세계적으로 25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 데카 레코드 음반 - Shades of a Blue Orphanage
Shades of a Blue Orphanage는 씬 리지가 1972년에 발매한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밴드 결성 전 멤버들이 속했던 밴드 이름들을 합쳐 만들어졌으며, 리마스터 CD에는 아일랜드 민요를 번안한 싱글이 추가되었고, 발매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밴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The Rolling Stones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앨범 정보 | |
![]() | |
앨범 종류 | 스튜디오 |
아티스트 | 롤링 스톤스 |
발매일 | 1964년 4월 17일 |
녹음일 | 1964년 1월 3일 – 2월 25일 |
녹음 장소 | 런던 리젠트 사운드 |
장르 | 블루스 록 브리티시 리듬 앤드 블루스 |
길이 | 33분 24초 |
레이블 | 데카 |
프로듀서 | 에릭 이스턴 앤드류 루그 올덤 |
싱글 | |
싱글 1 | Not Fade Away |
싱글 1 발매일 | 1964년 3월 6일 |
싱글 2 | Tell Me |
싱글 2 발매일 | 1964년 6월 12일 |
2. 녹음
녹음은 1964년 1월과 2월 런던의 리젠트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5일 동안 이루어졌으며, 당시 매니저였던 앤드류 루그 올덤과 에릭 이스턴이 프로듀싱을 맡았다.[35]
이 음반은 영국에서 데카 레코드를 통해, 미국에서는 런던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영국에서는 1964년에 《The Rolling Stones》라는 제목으로, 미국에서는 《England's Newest Hit Makers》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영국판과 미국판은 수록곡과 제목 표기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한국에서는 1964년 "이것이 리버풀 사운드의 결정반!! 더 롤링 스톤스"라는 제목으로 발매되었다.
대부분의 트랙은 R&B에 대한 밴드의 사랑을 반영한다. 믹 재거와 키스 리처즈(그의 예명은 1978년까지 성에서 "s"를 생략했다)는 1964년 초반까지 신인 작곡가였기 때문에 음반의 12곡 중 창작곡은 〈Tell Me (You're Coming Back)〉밖에 없다. 두 곡은 "낸커 펠지"(1963년부터 1965년까지 그룹 작곡에 사용된 가명)로 표기했다. 녹음 세션에 공헌한 필 스펙터와 진 피트니는 펠지의 곡 〈Now I've Got a Witness〉에서 "필 삼촌과 진 삼촌"이라는 부제로 등장했다.
3. 발매
3. 1. 영국판
음반 커버 사진은 니콜라스 라이트가 촬영했다. 커버에는 사진과 데카 로고만 있을 뿐, 제목이나 식별 정보는 없다. 이는 매니저 앤드루 루그 올덤이 처음 고안한 "전례 없는" 디자인 컨셉이었다.[3][4]
발매 당시, ''The Rolling Stones''는 1964년 영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음반 중 하나가 되었고, 12주 동안 1위를 유지했다.
영국판 앨범의 오리지널 버전은 1984년 CD로 발매되었지만, 이후 수년 동안 CD로는 절판되었다. 2010년 11월, ''The Rolling Stones 1964–1969''라는 한정판 비닐 박스 세트의 일부로, 그리고 동시에 디지털로 단독 출시되었다. 오리지널 제목은 2016년 9월 30일에 발매된 ''The Rolling Stones in Mono'' CD 박스 세트의 일부로도 복원되었다. 이 앨범은 영국과 미국 모두에서 모노로만 발매되었으며, 진정한 스테레오 믹스는 제작되지 않았다.
3. 2. 미국판
이 음반은 밴드의 미국 데뷔 음반으로, 1964년 5월 30일 런던 레코드를 통해 영국판 발매 이후 한 달 반이 지나 발표되었다. 미국판의 《England's Newest Hit Makers》는 원래 부제로 찍었으나, 후에는 공식 이름이 되었다.
〈Not Fade Away〉(밴드의 세 번째 영국 싱글의 A면)가 〈I Need You Baby〉를 대체했다.[39] 〈Now I've Got a Witness (Like Uncle Phil and Uncle Gene)〉과 〈Tell Me (You're Coming Back)〉는 대부분의 미국판에서 〈Now I've Got a Witness〉와 〈Tell Me〉로 단축되었다. 《The Rolling Stones》는 발매와 동시에 미국에서 11위를 차지했으며 그 과정에서 골드를 받았다. 현재까지 롤링 스톤스가 빌보드 앨범 차트에서 5위 안에 들지 못한 유일한 미국 정규 음반이다.[40]
2002년 8월, 이 음반은 공식적으로 《England's Newest Hit Makers》로 불렸고, ABKCO에 의해 새롭게 리마스터되어 CD와 SACD 디지팩으로 재발매됐다.[41]
일본에서는 같은 해 12월 킹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 커버 사진은 영국 및 미국반과 같지만, 재킷 왼쪽 상단에 아티스트명이 파란색 글씨로 표기되어 있다. 당시 일본어 제목은 『'''이것이 리버풀 사운드의 결정반!! 더 롤링 스톤스'''』였다.
4. 평가
《The Rolling Stones》는 발매 당시 영국과 미국에서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영국에서는 비틀즈의 《With The Beatles》를 제치고 12주 동안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했다.[24] 미국에서는 빌보드 앨범 차트 11위를 기록했다.[28]
뉴 뮤지컬 익스프레스는 이 음반을 "환상적이고 훌륭하다"고 평가하는 등 다수의 언론에서 칭찬을 받았지만, 멜로디 메이커 등 일부 비평가들은 "견딜 수가 없다"거나 "건방지다"며 비판했다.[28] 빌 와이먼은 자신의 저서에 "우리들이 음악 잡지와 전국 신문에서 인터뷰를 받게 되자, 이 앨범이 중요한 이정표임을 깨달았다"고 썼다.[37][28]
올뮤직은 이 음반에 5점 만점에 4.5점을 부여했다.[36] BBC 뮤직의 숀 이건(Sean Egan)은 2012년 이 음반에 대해 "그 결과가 1960년대 초 영국 블루스 붐에서 나온 최고의 앨범이었다는 것은 이 그룹의 훌륭함에 대한 증거이다 ... 앙상블은 리듬 앤 블루스에 대한 자신들이 가장 좋아하는 몇몇 곡들을 사랑스럽게 전달한다."라고 썼다.[16]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에서는 "이 앨범을 통해 롤링 스톤스는 곡을 블루스 스타일로 만들어 더 강하고 더 빠르고 더 무시무시하게 만드는 식의 독자적인 방식을 확립했다."라고 쓰여져 있다.[38] 이 음반은 콜린 라킨의 ''올 타임 톱 1000 앨범''에서 418위로 선정되었다.[17]
5. 곡 목록
롤링 스톤스의 데뷔 음반 《The Rolling Stones》는 영국과 미국에서 각기 다른 곡 목록으로 발매되었다.
영국판은 1964년 4월 16일에 발매되었다. 1면에는 〈Route 66〉, 〈I Just Want to Make Love to You〉, 〈Honest I Do〉, 〈I Need You Baby〉, 〈Now I've Got a Witness (Like Uncle Phil and Uncle Gene)〉, 〈Little by Little〉이 수록되었고, 2면에는 〈I'm a King Bee〉, 〈Carol〉, 〈Tell Me (You're Coming Back)〉, 〈Can I Get a Witness〉, 〈You Can Make It If You Try〉, 〈Walking the Dog〉가 수록되었다.[39]
미국판은 1964년 5월 30일에 《England's Newest Hit Makers》라는 부제를 달고 발매되었다. 〈Not Fade Away〉가 〈I Need You Baby〉를 대체했으며, 〈Now I've Got a Witness (Like Uncle Phil and Uncle Gene)〉와 〈Tell Me (You're Coming Back)〉는 각각 〈Now I've Got a Witness〉와 〈Tell Me〉로 단축되었다. 미국판은 빌보드 앨범 차트에서 11위를 기록하며 골드를 인증받았는데,[40] 이는 롤링 스톤스의 미국 정규 음반 중 유일하게 5위 안에 들지 못한 기록이다. 2002년에는 《England's Newest Hit Makers》라는 공식 이름으로 CD와 SACD 디지팩으로 재발매되었다.[41]
5. 1. 영국판
영국판은 1964년 4월 16일에 발매되었다.1면 | |||
---|---|---|---|
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시간 |
1 | Not Fade Away | 버디 홀리, 노먼 페티 | 1:48 |
2 | Route 66 | 바비 트룹 | 2:20 |
3 | I Just Want to Make Love to You | 윌리 딕슨 | 2:17 |
4 | Honest I Do | 지미 리드 | 2:09 |
5 | Now I've Got a Witness | 낸커 펠지 | 2:29 |
6 | Little by Little | 낸커 펠지, 필 스펙터 | 2:39 |
2면 | |||
번호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시간 |
7 | I'm a King Bee | 제임스 무어 | 2:35 |
8 | Carol | 척 베리 | 2:33 |
9 | Tell Me | 믹 재거, 키스 리처즈 | 4:05 |
10 | Can I Get a Witness | 브라이언 홀랜드, 라몬트 도지어, 에디 홀랜드 | 2:55 |
11 | You Can Make It If You Try | 테드 자렛 | 2:01 |
12 | Walking the Dog | 루퍼스 토마스 | 3:10 |
5. 1. 1. Side A
번호 | 제목 | 작곡가 | 길이 |
---|---|---|---|
1 | (겟 유어 킥스 온) 루트 66 | 바비 트룹 | 2:20 |
2 | 아이 저스트 원트 투 메이크 러브 투 유 | 윌리 딕슨 | 2:17 |
3 | 어니스트 아이 두 | 지미 리드 | 2:09 |
4 | 모나 (아이 니드 유 베이비) | 엘라스 맥다니엘 | 3:33 |
5 | Now I've Got a Witness (Like Uncle Phil and Uncle Gene) | 낸커 펠지 | 2:29 |
6 | 리틀 바이 리틀 | 낸커 펠지, 필 스펙터 | 2:39 |
5. 1. 2. Side B
번호 | 곡 제목 | 작곡가 | 시간 |
---|---|---|---|
1 | 아임 어 킹 비 | 제임스 무어 | 2:35 |
2 | 캐롤 | 척 베리 | 2:33 |
3 | 텔 미 (유어 커밍 백) | 재거-리처즈 | 4:05 |
4 | 캔 아이 겟 어 위트니스 | 브라이언 홀랜드, 라몬트 도지어, 에디 홀랜드 | 2:55 |
5 | 유 캔 메이크 잇 이프 유 트라이 | 테드 자렛 | 2:01 |
6 | 워킹 더 도그 | 루퍼스 토마스 | 3:10 |
5. 2. 미국판
이 음반은 롤링 스톤스의 미국 데뷔 음반으로, 1964년 5월 30일 런던 레코드를 통해 영국판 발매 이후 한 달 반이 지나 발표되었다. 원래 미국판의 《England's Newest Hit Makers》는 부제로 찍었으나, 후에는 공식 이름이 되었다.〈Not Fade Away〉(밴드의 세 번째 영국 싱글의 A면)가 〈I Need You Baby〉를 대체했다.[39] 〈Now I've Got a Witness (Like Uncle Phil and Uncle Gene)〉과 〈Tell Me (You're Coming Back)〉는 대부분의 미국판에서 〈Now I've Got a Witness〉와 〈Tell Me〉로 단축되었다. 《The Rolling Stones》는 발매와 동시에 미국에서 11위를 차지했으며 그 과정에서 골드를 받았다. 현재까지 롤링 스톤스가 빌보드 앨범 차트에서 5위 안에 들지 못한 유일한 미국 정규 음반이다.[40]
음반은 2002년 8월에 공식적으로 《England's Newest Hit Makers》로 불렸고, ABKCO에 의해 새롭게 리마스터되어 CD와 SACD 디지팩으로 재발매됐다.[41]
5. 2. 1. Side A
# Not Fade Away (버디 홀리, 노먼 페티)# 루트 66
# I Just Want to Make Love to You
# Honest I Do
# Now I've Got a Witness
# Little by Little
5. 2. 2. Side B
제목 | 작사 | 길이 |
---|---|---|
I'm a King Bee | 제임스 무어 | 2:35 |
캐롤 | 척 베리 | 2:33 |
Tell Me (You're Coming Back) | 믹 재거, 키스 리처즈 | 4:05 |
Can I Get a Witness | 브라이언 홀랜드, 라몬트 도지어, 에디 홀랜드 | 2:55 |
You Can Make It If You Try | 테드 자렛 | 2:01 |
Walking the Dog | 루퍼스 토마스 | 3:10 |
6. 참여 인원
'''롤링 스톤스'''
- 믹 재거 – 리드 보컬, 백 보컬, 하모니카, 타악기
- 키스 리처즈 – 기타, 백 보컬
- 브라이언 존스 – 기타, 하모니카, 타악기, 백 보컬
- 빌 와이먼 – 베이스 기타, 백 보컬
- 찰리 와츠 – 드럼, 타악기
'''추가 인원'''
6. 1. 롤링 스톤스
- 믹 재거 - 리드 & 백킹 보컬, 퍼커션, 하모니카[31]
- 키스 리처즈 - 기타, 백킹 보컬
- 브라이언 존스 - 기타, 백킹 보컬, 하모니카, 퍼커션
- 빌 와이먼 - 베이스, 백킹 보컬
- 찰리 와츠 - 드럼, 퍼커션
6. 2. 추가 인원
7. 차트와 판매량
이 음반은 1964년부터 1965년, 그리고 2024년에 여러 국가의 앨범 차트에 진입했다. 1964년 오스트레일리아 앨범 차트에서 1위[19], 핀란드 앨범 차트에서 2위[20]를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크로아티아 인터내셔널 앨범 차트 23위[21], 그리스 앨범 차트 64위[22]를 기록했다.
7. 1. 차트
7. 2. 판매량 인증
지역 | 인증 |
---|---|
캐나다 | 플래티넘 |
미국 | 골드 |
8. 재발매
1986년에 앱코 레코드가 미국판을 채택하여 최초로 CD화했기 때문에, 영국판은 절판되었다(80년대 후반 일본이나 독일 등 일부 국가에서 CD화[29]). 2002년에는 미국판이 리마스터링되어 SACD와 하이브리드 CD로 디지팩 사양으로 재발매되었다.
2011년에는 영국 및 미국판 모두 하이 레졸루션 디지털 음원으로 재발매되었다. 2016년에는 데카 시대 오리지널 앨범의 모노럴 버전을 복각한 박스 세트 『더 롤링 스톤스 MONO BOX』로 다시 CD화되었다[30]).
9. 유산
데이비드 보위는 1972년 싱글 The Jean Genie에서 《롤링 스톤스》의 사운드를 재현하려 했다. 그는 "그렇게 근접하진 못했지만, 내가 원했던 60년대의 느낌을 담았다"라고 말했다.[18]
참조
[1]
웹사이트
Rolling Stones singles
https://dutchcharts.[...]
[2]
웹사이트
1964 timeline
https://www.timeison[...]
[3]
서적
Rolling With the Stones
DK Publishing
[4]
서적
Stoned
St. Martin's Griffin
[5]
웹사이트
The Rolling Stones' Complete Discography Part I: 1963–1965
http://www.timeisono[...]
2008-02-25
[6]
간행물
The Rolling Stones – Chart History
http://www.billboard[...]
2016-03-26
[7]
뉴스
Super audio CDs: The Rolling Stones Remastered
2002-08-24
[8]
웹사이트
The Rolling Stones (England's Newest Hit Makers) – The Rolling Stones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1964-05-30
[9]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10]
간행물
Satisfaction?
https://ew.com/artic[...]
2002-09-20
[11]
서적
The Great Rock Discography
Canongate
2004
[12]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Visible Ink
1996
[13]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2004
[14]
웹사이트
Grade List: The Rolling Stones
http://tomhull.com/o[...]
n.d.
[15]
서적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Revised and Updated Edition'
Universe
[16]
웹사이트
Review of The Rolling Stones – The Rolling Stones
https://www.bbc.co.u[...]
BBC Music
[17]
서적
All Time Top 1000 Albums
Virgin Books
2000
[18]
서적
Shock and Awe: Glam Rock and Its Legacy
Faber & Faber
2016
[19]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20]
서적
Sisältää hitin –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vuodesta 1972
Kustannusosakeyhtiö Otava
[21]
웹사이트
Lista prodaje 18. tjedan 2024.
https://web.archive.[...]
HDU
2024-04-22
[22]
웹사이트
Official IFPI Charts – Top-75 Albums Sales Chart (Combined) – Εβδομάδα: 22/2024
https://web.archive.[...]
IFPI Greece
[23]
Official Chart
ROLLING STONES | full Official Chart History | Official Charts Company
http://www.officialc[...]
[24]
Billboard Chart
The Rolling Stones - Chart history | Billboard
http://www.billboard[...]
[25]
문서
『ローリングストーンズ/グッド・タイムズ・バッド・タイムズ』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26]
문서
『ストーン・アローン/上』
ソニー・マガジンズ
[27]
문서
『イングランズ・ニューエスト・ヒットメーカーズ』日本版リマスターCD(2002年)の越谷政義による解説より。
[28]
문서
『ストーン・アローン/上』
ソニー・マガジンズ
[29]
웹사이트
The Rolling Stones - The Rolling Stones at Discogs:
https://www.discogs.[...]
null
null
[30]
웹사이트
THE ROLLING STONES | ザ・ローリング・ストーンズ - ザ・ローリング・ストーンズ MONO BOX (7インチ紙ジャケット仕様) - UNIVERSAL MUSIC JAPAN
https://www.universa[...]
[31]
웹사이트
The Rolling Stones:
http://www.timeisono[...]
null
null
[32]
서적
Rolling With the Stones
https://archive.org/[...]
DK Publishing
[33]
서적
Stoned
St. Martin's Griffin
[34]
문서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Revised and Updated Edition
2010-03-23
[35]
문서
『ローリングストーンズ/グッド・タイムズ・バッド・タイムズ』
シンコーミュージック
[36]
웹인용
The Rolling Stones (England's Newest Hit Makers) - The Rolling Stones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1964-05-30
[37]
서적
ストーン・アローン/上
ソニー・マガジンズ
[38]
웹인용
죽기 전에 꼭 들어야 할 앨범 1001 - The Rolling Stones
https://terms.naver.[...]
[39]
웹인용
The Rolling Stones' Complete Discography Part I: 1963–1965
http://www.timeisono[...]
2008-02-25
[40]
웹인용
The Rolling Stones - Chart History
http://www.billboard[...]
2016-03-26
[41]
뉴스
Super audio CDs: The Rolling Stones Remastered
Billboard
2002-08-24
[42]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